맨위로가기

2002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삼성 라이온즈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LG 트윈스가 맞붙어 7전 4선승제로 치러졌다. 삼성 라이온즈가 4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6차전에서 이승엽의 동점 3점 홈런과 마해영의 끝내기 홈런으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한국시리즈 역사상 최초의 끝내기 홈런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11월 -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는 2002년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어 17개 종목에 40개국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2002년 11월 -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은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우승하고 미국과 캐나다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 2002년 야구 - 2002년 한국프로야구
    2002년 한국프로야구는 삼성 라이온즈의 우승, LG 트윈스의 돌풍, 롯데 자이언츠의 부진, 김종국과 이승엽의 개인 타이틀, 그리고 류현진의 신인 지명 등이 주요 특징이다.
  • 2002년 야구 - 2002년 일본 시리즈
    하라 다쓰노리 감독의 요미우리가 이하라 하루키 감독의 세이부를 4연승으로 꺾고 2002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니오카 도모히로가 MVP를 수상하고 마쓰이 히데키는 뉴욕 양키스로 이적했다.
  • LG 트윈스 포스트시즌 - 2021년 KBO 포스트시즌
    2021년 KBO 포스트시즌은 정규 시즌 상위 5개 팀이 참가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부터 한국시리즈까지 진행되었으며, KT 위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두산 베어스는 7년 연속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 LG 트윈스 포스트시즌 - 2024년 KBO 포스트시즌
    2024년 KBO 포스트시즌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kt 위즈가 참여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서 KIA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가 맞붙을 예정이다.
2002년 한국시리즈
2002년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로고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로고
LG 트윈스
우승 팀삼성 라이온즈
우승 팀 승리 수4
무승부 수null
우승 팀 감독김응용
우승 팀 시즌 성적82승 4무 47패 (정규시즌 1위)
상대 팀LG 트윈스
상대 팀 승리 수2
상대 팀 감독김성근
상대 팀 시즌 성적66승 6무 61패 (정규시즌 4위)
경기 일정2002년 11월 3일 ~ 11월 10일
MVP마해영

2. 정규 시즌 결과

순위구단승률승차
1위삼성824470.6360.0
2위KIA784510.6054.0
3위현대705580.54711.5
4위LG666610.52015.0
5위두산662650.50417.0
6위SK613690.46921.5
7위한화595690.46122.5
8위롯데351970.26548.5


3. 포스트시즌

2002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으로 인해 예년보다 2주 늦은 10월 말부터 시작되었다. 인기 팀인 LG 트윈스가 선전하면서 추운 날씨 속에서도 팬들의 관심을 모았다.

준플레이오프에서는 LG 트윈스현대 유니콘스를 2승으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KIA 타이거즈를 3승 2패로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는 1985년 이후 17년 만에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지만, 한국시리즈 우승은 처음이었다. 이전까지 7번의 한국시리즈에서 모두 패배하며 '한국시리즈 징크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특히 전년도에는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며 아쉬움을 삼켰다. 삼성은 199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인 전력 보강을 통해 우승을 노렸고, 2002년에 그 결실을 보았다.

LG 트윈스는 전반기 부진을 딛고 후반기 상승세를 타며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열세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김성근 감독의 뛰어난 지략을 바탕으로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한국시리즈에서 LG는 삼성을 끈질기게 괴롭혔다. 특히 6차전에서는 LG 김재현이 부상 투혼을 발휘하며 역전 타점을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9회말 이상훈이 이승엽에게 동점 3점 홈런을, 최원호가 마해영에게 끝내기 홈런을 허용하면서 삼성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한국시리즈가 끝내기 홈런으로 결정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1]

LG의 김성근 감독은 뛰어난 용병술로 "야구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시즌 후 해임되는 불운을 겪었다. 이후 LG는 오랜 기간 동안 하위권을 맴돌았다.

3. 1. 준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3위 현대 유니콘스와 4위 LG 트윈스가 맞붙은 준플레이오프에서 LG가 현대를 2승으로 이기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승리팀경기 결과상대팀
LG 트윈스 (4위)2 - 0 - 0현대 유니콘스 (3위)


  • '''MVP''': 최동수 (LG, 내야수) - 6타수 3안타, 타율 0.500, 2타점

3. 2.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2위 KIA 타이거즈와 준플레이오프 승리팀 LG 트윈스가 플레이오프에서 맞붙었다. LG 트윈스는 KIA 타이거즈를 3승 2패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1]

특히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는 광주의 열광적인 KIA 팬들이 경기 결과에 분노하여 구장 외야 스탠드에 불을 지르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

승리팀성적경기 결과패전팀
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3승 2패○●●○○KIA 타이거즈 (정규 시즌 2위)


3. 3. 한국시리즈

2002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삼성 라이온즈와 플레이오프 승리팀인 LG 트윈스 간의 경기로, 삼성 라이온즈가 4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 해는 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으로 인해 시즌 일정이 늦춰져, 한국시리즈는 11월에 시작하여 역대 가장 늦게 끝난 시리즈로 기록되었다.

삼성은 1985년 이후 17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의 승리는 팀 역사상 처음이었다. 삼성은 이전까지 7번의 한국시리즈에서 모두 패배했었다. 특히 전년도에는 정규 시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도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는 아픔을 겪었다.

LG 트윈스는 전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김성근 감독의 지략을 바탕으로 예상을 뒤엎고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했다. 특히, KIA 타이거즈와의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는 광주 팬들이 경기장 외야 스탠드에 불을 지르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1]

LG는 삼성을 상대로 끈질기게 맞섰지만, 결국 6차전에서 이승엽에게 동점 3점 홈런, 마해영에게 끝내기 홈런을 허용하며 패배했다. 이로써 삼성은 오랜 기다림 끝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시리즈가 끝내기 승리로 결정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1]

LG의 김성근 감독은 비록 패했지만, 뛰어난 지략으로 김응용 감독을 압박하며 "야구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김성근 감독은 시즌 후 해임되는 불운을 겪었고, 이후 LG는 오랜 기간 부진을 겪게 되었다.

스테이지승리팀성적경기 결과패전팀
준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2승○○현대 유니콘스 (정규 시즌 3위)
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3승 2패○●●○○KIA 타이거즈 (정규 시즌 2위)
한국시리즈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1위)4승 2패○●○○●○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


3. 3. 1. 경기 결과

이승엽, 한국시리즈 7경기 연속 안타.2차전11월 4일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LG 트윈스삼성 라이온즈3 - 1LG 조인성 6회 1점 홈런.3차전11월 6일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6 - 0이승엽, 한국시리즈 9경기 연속 타점4차전11월 7일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4 - 35차전11월 8일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LG 트윈스삼성 라이온즈8 - 7삼성 마해영 1회 2점, 9회 3점 홈런.6차전11월 10일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10 - 9LG 최동수 2회 3점 홈런.
삼성 박한이 2회 2점 홈런, 이승엽 9회 3점, 마해영 9회 1점(끝내기) 홈런.
마해영, 한국시리즈 사상 첫 끝내기 홈런.



특히 6차전은 9회말 삼성 라이온즈의 극적인 역전승으로 끝난 경기로, 이승엽마해영의 연속 홈런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9회말 6-9로 뒤지던 삼성 라이온즈이승엽의 동점 3점 홈런과 마해영의 끝내기 홈런으로 승리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었다.[1]

삼성 라이온즈는 2002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시리즈 MVP는 24타수 11안타, 타율 0.458, 3홈런, 10타점을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마해영이 차지했다.

4. 출전 선수 명단

삼성 라이온즈
직책이름비고
감독김응용
코치유남호, 양일환, 조범현, 박흥식, 류중일, 김종모
투수임창용, 노장진, 김현욱, 오상민, 전병호, 배영수, 김진웅, 강영식, 엘비라, 권혁
포수진갑용, 현재윤
내야수이승엽, 김한수, 브리또, 박정환, 김재걸, 김승관, 조동찬, 마해영
외야수양준혁, 박한이, 강동우, 김종훈, 임재철, 장영균



LG 트윈스
직책이름비고
감독김성근
코치김상훈, 김용국, 세이케, 양상문, 이철성, 이홍범
투수경헌호, 김민기, 만자니오, 신윤호, 류택현, 이동현, 이상훈, 이승호, 장문석, 최원호, 최향남, 케펜
포수김정민, 조인성
내야수권용관, 손지환, 유지현, 이종열, 최동수, 안상준
외야수김재현, 마르티네스, 박연수, 박용택, 심성보, 이병규, 최만호


5. 한국시리즈 이모저모

2002년 한국시리즈는 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아시안 게임으로 인해 정규 시즌 및 한국시리즈 일정이 예년보다 늦춰져, 역대 가장 늦은 11월에 개막하고 종료된 시리즈로 기록되었다.[1]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LG 트윈스의 예상 밖 선전은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6차전에서 LG 김재현의 투혼, 9회말 삼성 이승엽의 동점 3점 홈런과 마해영의 끝내기 홈런은 한국 야구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꼽힌다. 이는 한국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끝내기 홈런으로 우승이 결정된 사례이기도 하다.[1]

2002년 포스트시즌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지승리팀성적경기 결과패전팀
준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2승○○현대 유니콘스 (정규 시즌 3위)
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3승 2패○●●○○KIA 타이거즈 (정규 시즌 2위)
한국시리즈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1위)4승 2패○●○○●○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


5. 1. 김성근 감독과 김응용 감독

비록 LG 트윈스는 2002년 한국시리즈에서 패배했지만, 김성근 감독의 뛰어난 지략은 빛을 발했다. 전력상 열세였던 LG 트윈스를 이끌고, 정규 시즌 1위 팀이자 9번의 우승 경험을 가진 김응용 감독의 삼성 라이온즈를 끈질기게 괴롭혔다. 특히 김성근 감독의 작전과 선수 기용은 "야구의 신"과 대적하는 듯한 느낌을 줄 정도로 탁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응용 감독은 우승 인터뷰에서 "작전이나 선수 기용이 무서울 정도로 맞아떨어져 마치 야구의 신과 대적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라며 김성근 감독을 극찬했다. 이로 인해 김성근 감독은 패장임에도 불구하고 '야구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하지만, 김성근 감독은 한국시리즈 준우승이라는 업적에도 불구하고, 시즌 종료 후 구단 사장과의 야구관 차이로 인해 해임되는 불운을 겪었다. 이후 LG 트윈스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며 긴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되었다.

5. 2. 삼성 라이온즈의 우승 의미

삼성 라이온즈는 1985년 전·후기 통합 우승을 달성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는 우승하지 못했다. 이후 17년 동안 한국시리즈에 7번 진출했으나 모두 패배하며 우승에 대한 갈망이 컸다.[1] 특히 2001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81승을 거두고도 한국시리즈에서 65승 63패의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1]

이러한 한국시리즈에서의 계속된 실패는 삼성 라이온즈에게 큰 트라우마로 작용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다른 팀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극적인 전력 보강을 실시했고, 2002년 한국시리즈 우승은 그 결과였다.[1] 하지만, 2002년 우승 역시 쉽지만은 않았다.

2002년 한국시리즈 상대였던 LG 트윈스는 전년도의 두산 베어스보다 전력이 약한 팀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LG 트윈스는 예상을 뒤엎고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했고, 김성근 감독의 뛰어난 지략을 바탕으로 삼성을 끈질기게 괴롭혔다.[1] 6차전에서 9회 말 이승엽의 동점 3점 홈런과 마해영의 끝내기 홈런으로 삼성이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오랜 숙원을 풀었다.[1]

5. 3. LG 트윈스의 준우승, 그리고 좌절

LG 트윈스는 전년도보다 전력 면에서 열세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2002년 정규 시즌에서 4위를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에서 예상을 뒤엎고 승리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특히 KIA 타이거즈와의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는 광주 팬들이 구장 외야 스탠드에 불을 지르는 소동이 벌어질 정도로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1]

김성근 감독의 뛰어난 지략을 바탕으로 LG 트윈스는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끈질기게 괴롭혔다. 5차전까지 접전을 벌인 LG는 6차전에서 9회초까지 9 대 6으로 앞서 나갔다. 특히, 6회초 대퇴관절부의 희귀병으로 선수 생명의 위기에 놓였던 김재현이 대타로 출전, 2루타성 타구를 날리며 역전 타점을 올린 장면은 LG의 투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1]

그러나 9회말 이상훈이 이승엽에게 동점 3점 홈런을 허용하고, 이어서 최원호가 마해영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아 LG는 결국 준우승에 머물렀다.[1]

비록 패했지만, 김성근 감독은 전력상 열세인 팀을 이끌고 뛰어난 지략을 선보이며, 우승팀 감독 김응용으로부터 "마치 야구의 신과 대적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라는 극찬을 받았다. 김성근 감독은 '야구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시즌 후 구단 사장과의 야구관 차이로 해임되는 불운을 겪었다.[1]

김성근 감독 해임 이후, LG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며 긴 부진의 늪에 빠졌다. 이 기간 동안 LG는 시즌 최하위를 두 번이나 기록하는 등 극심한 성적 부진을 겪었다.[1] 이는 유능한 리더십과 시스템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2002년 포스트시즌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지승리팀성적경기 결과패전팀
준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2승○○현대 유니콘스 (정규 시즌 3위)
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3승 2패○●●○○KIA 타이거즈 (정규 시즌 2위)
한국시리즈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1위)4승 2패○●○○●○LG 트윈스 (정규 시즌 4위)


6. 방송 중계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비고
KBS 1TV표영준(2)하일성[1]
KBS 2TV표영준(4·6)
SBS TV김정일(1·3·5)박노준
SBS Sports최준식(6)강태정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비고
KBS 제2라디오김관동(6)장건희(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